우리가
살고 싶은 동네를
만듭니다
2012-2013
서울시 살기좋은 마을만들기 공모전 금상
상도4동 주거환경관리사업 진행
주민의견수렴 및 기초조사용역 수행
고용노동부 사회적기업가 육성사업 3기 선정
블랭크 창업
2014
공유부엌 청춘플랫폼 조성 및 운영
에너지슈퍼마켙 설계, 상도동
즐거운작당 설계, 상도동
너나울 어린이도서관 설계, 우면동
무중력지대 G밸리 설계, 가산동
2015-2016
공유작업실 청춘캠프 조성 및 운영
상도동 그잡지 기획 및 발행
대륙서점&아시안보울 설계, 상도동
서울일자리플러스센터 설계, 무교동
마을활력소 설계, 독산4동/1동
2017
공유주택 청춘파크 조성 및 운영
인천청년공간 유유기지 설계, 도화동
동네정미소 설계, 성산동
움직이는 창의클래스 기획&설계, 문래초/은빛초
마을활력소 기획&설계, 대방동
2018
커뮤니티 바 {공집합} 조성 및 운영
서울하우징랩 설계, 당산동
동네정미소 설계, 서교동
새서울프라자 청년점포 설계, 과천
마을활력소, 도봉구 4개동
2019
커뮤니티 다이닝 바 {공집합 후암} 조성 및 운영
무중력지대 영등포, 영등포구
금천구 마을공동체지원센터 리모델링, 금천구
서울시 거점형 마을활력소 공감워크숍, 서울시
괜찮아마을 3기 작은성공 프로젝트, 목포
상도동 커뮤니티바 ‘공집합’
지하철 7호선 신대방삼거리역에서 멀지 않은 성대로1길에, 얼마 전부터 녹색의 네온사인으로 밤길을 환하게 비추고 있는 술집이 생겼다.
술집이라지만 내부가 훤히 보이는 커다란 유리창으로 인해 커피숍 같은 분위기의 이곳은 커뮤니티 바(Community Bar)를 꿈꾸는 ‘공집합’이다. 이곳에서도 여느 바처럼 술과 안주를 판매하고 있어 개방적인 분위기를 제외하면 일반 술집과 크게 다른 점은 없는 것 같아 보인다. 커뮤니티 바는 무엇이고 어떤 점이 다른 걸까?
기사 보러가기 :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8120501033312000001
2013년 상도동에 진입했다. 순전히 아이의 방과후를 맡기려고 들어왔을 뿐이었다. 마을학교를 오고가는데 오래된 단층 건물의 한켠이 공사를 한다. 왼쪽은 수선집, 오른쪽은 보일러설비집. 원래 오래된 건물이라 더 이상 세련될 수 없어 보였는데 난데없는 조명과 투명 유리창, 그리고 그 너머로 실내가 훤히 들여다 보인다. 이주한 주민이 보기에도 낯선데 오래 살았던 토착민들이 보기에 이 풍경은 얼마나 쌩뚱맞았을까. 말 그대로 희한한 공간이었다. ‘커뮤니티공간’을 전혀 알 리 없었던 시절에 공간을 열었더니 지나가는 사람들마다 ‘뭐 하는 데냐’고 물었단다. 그렇게 물을 때마다 이렇게 대답해줘도 뭐하는 곳인 줄 이해하기 어려워 하더란다. 그런데 공간의 이해를 넓히는 획기적 사건이 하나 일어났다. 2015년 방송된 KBS <인간의조건~재능공유>편에서 성대골마을이 소개되면서 주민들은 여기가 뭐하는 곳인 줄 확실하게 ‘공유’했던 것이다.
공유공간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청춘플랫폼은 커뮤니티 공간으로 스며들고 있었다. 장사하는 가게도 아닌데 사람들은 들락거리고, 모임을 하고 밥을 먹으며 주민들은 이 공간을 이해하게 되었고, 그 중심에 청년들은 공유공간을 직접 이용하거나 참여하면서 상도동엔 ‘청년들’이 사는 시간으로 이어졌다.
기사 보러가기 : http://www.lifein.news/news/articleView.html?idxno=3148
기사 보러가기 :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pace-salim&logNo=221438929000&redirect=Dlog&widgetTypeCall=true&fbclid=IwAR0wcaiuw4vYF4a175v2LWNlqSykwXQ1DxqlA9ox1XoU1OvKsSHQ-2dIgxU
지난 11월말, 서울 마포구 성산동에 세련된 디자인의 정미소가 들어섰다. 현대인의 ‘건강식’ 열풍에 맞춰 순수 토종이면서, 기존에 보기 힘든 이색 쌀을 판매하는 이른바 ‘쌀카페’다. 도시재생 스타트업 블랭크는 이 정미소의 설계부터 브랜딩, 디자인까지 도맡았다. 블랭크는 상도동에서 4년째 유휴공간을 이웃과 함께 나누는 공간 공유 사업을 벌이고 있다. 20~30대 청년들로 이뤄진 블랭크는 작은 철물점을 리모델링한 ‘청춘플랫폼’을 시작으로 도시와 청년을 잇는 가교역할을 하고 있다.
기사 보러가기 : http://www.jobnjoy.com/portal/job/hotnews_view.jsp?nidx=250407&depth1=1&depth2=1&depth3=1
클릭 한 번으로 세계 구석구석이 연결되고 수많은 군중에 둘러싸여 살지만 관계를 맺지 않으면 모두 허상일 뿐입니다. 살기 좋은 마을을 만들기 위해 물리적·심리적 공간을 메우고 이웃들 간에 관계 맺기를 지향하는 청년들이 있습니다. 소셜벤처 ‘블랭크’ 이야기입니다.
국사봉 산자락에 위치한 동작구 상도동 성대골 마을. 2013년 블랭크는 이곳에 터를 잡고 공유 공간 ‘청춘플랫폼’을 열었습니다. 청춘플랫폼은 주민이 다양한 나눔을 통해 소통하는 공간입니다.
첫 시도는 함께 먹고 이야기를 나누는 ‘나눔부엌’ 프로젝트였어요. 나눔부엌은 시간이 흐르면서 차츰 청년 창업자를 위한 준비와 도전의 공간으로 확장됐습니다.
기사 보러가기 : https://ppss.kr/archives/149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