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살고 싶은 동네를
만듭니다
2012-2013
서울시 살기좋은 마을만들기 공모전 금상
상도4동 주거환경관리사업 진행
주민의견수렴 및 기초조사용역 수행
고용노동부 사회적기업가 육성사업 3기 선정
블랭크 창업
2014
공유부엌 청춘플랫폼 조성 및 운영
에너지슈퍼마켙 설계, 상도동
즐거운작당 설계, 상도동
너나울 어린이도서관 설계, 우면동
무중력지대 G밸리 설계, 가산동
2015-2016
공유작업실 청춘캠프 조성 및 운영
상도동 그잡지 기획 및 발행
대륙서점&아시안보울 설계, 상도동
서울일자리플러스센터 설계, 무교동
마을활력소 설계, 독산4동/1동
2017
공유주택 청춘파크 조성 및 운영
인천청년공간 유유기지 설계, 도화동
동네정미소 설계, 성산동
움직이는 창의클래스 기획&설계, 문래초/은빛초
대방동 마을활력소 기획&설계, 서울시
2018
커뮤니티 바 {공집합} 조성 및 운영
서울하우징랩 설계, 당산동
동네정미소 설계, 서교동
새서울프라자 청년점포 설계, 과천시
도봉구 4개동 마을활력소, 도봉구
2019
커뮤니티 다이닝 바 {공집합 후암} 조성 및 운영
무중력지대 영등포, 영등포구
금천구 마을공동체지원센터 리모델링, 금천구
서울시 거점형 마을활력소 공감워크숍, 서울시
괜찮아마을 3기 작은성공 프로젝트, 목포시
2020
빈집큐레이션 플랫폼 유휴 런칭
청자장 건축설계 제안공모(당선), 세종시
커먼즈필드 춘천 인테리어, 춘천시
제물포역 일원 창업지원재생 기본계획 수립, IH
SH청년건축가 공간운영 지원용역, SH
2021
과천청년공간 청년창공 설계, 과천시
DMZ 평화의길 거점센터 리모델링, 김포시
목2동 골목길 재생사업 실행계획 수립 및 공동체 기반조성, 양천구
인천 근대건축문화자산 활용 사업모델 구상, IH
서울시여성인력개발기관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인프라 실태조사, 서울시여성능력개발원
사당3동 마을활력소 공감워크숍, 동작구
2022
서울시 신림청소년쉼터 리모델링, 서울시
제로웨이스트 그로서리 지구샵 인테리어, 연남동
공주 주미동 단독주택 신축 설계, 공주시
정릉동 마을활력소 공감워크숍, 성북구
계동집 프로젝트(신축), 계동
동작 청년 1인 1능 프로젝트, 동작구
동부 경기문화창조허브 리모델링, 경기콘텐츠진흥원
2023(WIP)
장항 아우름스테이 허브 운영자 선정 행사 용역, 서천군
김포공항 000동 외부 개선공사 설계 용역, KAC
경북 영주시와 SK스페셜티가 손잡고 추진 중인 '영주 경제속으로(STAXX)'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소셜벤처 기업 8곳이 최종 확정됐다. 영주시와 SK스페셜티는 27일 청년교류공간 'STAXX(스택스)'에서 확정된 기업 관계자들과 성장 지원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서 시는 사회적 가치 창출에 앞장서는 소셜벤처기업들이 성공적으로 지역에 정착해 청년 인구 유입의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을 약속했다. '영주 경제속으로'는 SK스페셜티의 지역사회 공헌사업으로, 중소벤처기업부 인증 소셜벤처 및 사회적기업 전문 액셀러레이터 임팩트스퀘어에서 맡아서 운영하는 사업이다.
(중략)
△지역의 유휴공간이나 활용도가 낮은 주택을 중단기 주거공간으로 리모델링해 렌탈 및 중개하는 주거구독 서비스 유휴하우스를 운영하는 <주>블랭크 등도 선발됐다.
더 알아보기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221027010003440
워케이션 문화는 기존 관광 산업을 새롭게 정의하며 전 세계적으로 업무와 거주 방식을 근본부터 바꾸고 있다. 국내에서는 한 달 살기, 호텔 살기 등 여행지에서 살아보는 주거 트렌드가 확산 중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발표한 ‘2021 국내 관광 트렌드’에 따르면 ‘한 달 살기’ 키워드 검색량이 전년 대비 260%가량 늘었다.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 호텔에삶, 글로카로카 등 호텔 장기 숙박 서비스와 리브애니웨어, 미스터멘션, 유휴하우스 등 휴양지 주택 임대 서비스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지역 기반 스타트업도 최근 트렌드와 맞물려 주목받고 있다. 코로나19 이전부터 인구 감소 지역에 머물며 일하기 좋은 업무·숙박 환경을 조성해 지역의 관계인구를 늘리고, 한발 더 나아가 정착까지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문화유산과 자연환경 등 지역 자원을 워케이션 콘텐츠로 새롭게 브랜딩하고 식당, 카페, 호텔 등과 연계하는 것이 공통점이다.
(중략)
최근 들어 워케이션은 지자체와 지역 기반 스타트업 모두에게 매력적인 단어가 되었다. 하지만 한정된 자원에 따른 지역간 경쟁과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들린다. 일에서 해방되지 못하고 휴가지에서조차 일에 얽매여 지내야 하는 것에 회의를 느끼는 이들도 적지 않다. 앞으로 워케이션이 여유로운 일부 직장인들의 라이프스타일에 그칠 것인지, 장차 보편적인 삶의 방식으로 자리 잡을 것인지 분명 하지 않지만, 확실한 것은 일터와 삶터를 선택하는 기준이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는 점이다. 정해진 오피스에서 일하고 출퇴근하기 좋은 지역에 살던 일상에서 벗어나, 원하는 곳에서 일하고 살고 싶은 지역에서 단기간이라도 직접 살아보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자기만의 기준으로 세컨드 오피스와 세컨드 하우스를 선택하는 삶. 워케이션은 결국 메타버스가 아닌 현실 세계에서 세컨드 라이프를 살고 싶은 사람들의 이상향이 아닐까.
더 알아보기
http://mdesign.designhouse.co.kr/article/article_view/101/83508
(중략)
제주뿐 아니라 여수와 남해, 속초 등지의 노후주택을 고쳐 한달살이, 반년살이 등으로 임대하는 ‘유휴yoohuu’ 하우스는 이같은 관점에서 또다른 접근 방향을 찾을 수 있다.
유휴하우스는 휴양지 인근의 오래된 노후주택이나 방 한두 칸을 빌려 개조해 장단기로 임대를 하는데, 지역의 주택가 안에서 대상지를 골라 동네 주민과 이웃처럼 지낼 수 있도록 정주에 초점을 맞춰 개발한다. 덕분에 자연스레 현지 생활을 누리게 되고 간단한 업무는 집 안에서 해결할 수 있다.
유휴하우스를 운영 중인 문승규 블랭크 대표는 “지역에서 직접 살아보면서 현지 문화도 체험하고 이웃들과도 교류하는 등 시간이 필요하다”면서 “단순히 거주지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 속으로 파고들어 사는 경험을 주는데 신경을 쓴다”고 말했다.
더 알아보기
https://magazine.brique.co/article/nomadweek_jeju/
커먼즈필드 춘천
커먼즈필드 춘천은 1975년 조달청 창고 건물로 처음 지어졌다. 이후 춘천도시공사로 기능을 바꾸어 운영되었지만 오랜 시간 쓸모를 잃은 빈 공간이었다. 이러한 공간을 리모델링하여 춘천의 다양한 사회 문제를 지역 주민의 자유로운 참여와 협력으로 해결해 가는 혁신공간으로 만들고자 하였다. 오래된 건물의 골조와 외관은 최대한 보존하면서 실내 공간은 춘천 시민 누구나 찾아올 수 있는 환대의 공간이자 지역의 고민을 모으고 새로운 실험을 해나갈 수 있는 공간으로 재구성했다.(중략)
더 알아보기
http://magazine.brique.co/project/%ec%bb%a4%eb%a8%bc%ec%a6%88%ed%95%84%eb%93%9c-%ec%b6%98%ec%b2%9c-commonz-field-chuncheon/
‘동네에서 만나는 특별한 일상’을 주제로 더 나은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는 복합문화공간 ‘포트타운’이 지난 4월 6일 여수 웅천동에 문을 열었다.
포레나 여수웅천 디아일랜드, 한화 벨메르 호텔 2층에 위치한 포트타운은 60m 전면 창으로 여수 바다가 내려다보이는 곳으로, 방문객들에게 탁 트인 개방감을 선사한다.(중략)
더 알아보기
https://magazine.brique.co/brq-news/%eb%a1%9c%ec%bb%ac-%eb%b8%8c%eb%9e%9c%eb%93%9c%ec%99%80-%ed%95%a8%ea%bb%98-%ed%95%98%eb%8a%94-%ec%97%ac%ec%88%98-%eb%b3%b5%ed%95%a9%eb%ac%b8%ed%99%94%ea%b3%b5%ea%b0%84-%ed%8f%ac%ed%8a%b8%ed%83%80/